소아청소년센터
소아청소년센터
홈 > 소아청소년센터 > 소아청소년정형
소아의 유연성 편평족
체중부하가 발생했을 때 발바닥의 안쪽 아치(arch)가 소실되어 발바닥 안쪽이 편평하게 되는 변형
유연성 편평족(평발)은 체중부하가 걸리는 서 있는 자세 등에서만 발바닥의 안쪽 아치(arch)가 없어져서 바닥면이 편평하게 되는 변형을 말합니다. 생후 편평족으로 나서 5~6세가 되면 발의 종 아치가 생겨 6~8세 이후에 완성됩니다. 대부분은 원인 불명이지만 소아의 경우 소아마비나 뇌성마비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 장시간 보행이나 달리기 등을 꺼려할 수 있지만 통증이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소아의 유연성 편평족은 대부분 성장하면서 사라지기 때문에 방치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변형이 심할 경우 발을 자주 삐기도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과 보존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장시간 보행이나 달리기를 꺼리고 운동 후 쉽게 피로를 느낀다
소아의 경우 대부분이 원인 불명이며 증상도 일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마비나 뇌성마비와 같은 신경 근육성 질환이나 과도한 체중 증가가 있을 때 평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아의 경우에서 발의 아치가 보이지 않는 것은 정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편평족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통증이 생긴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사춘기 이후까지 변형과 통증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통증은 없고 피로만 있는 가벼운 증상에서는 아치 지지대 깔창을 착용하거나 아치 패드를 착용합니다. 아킬레스건 단축 시에는 스트레칭을 활용하고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서 냉찜질(열이 있는 급성기)과 온찜질(통증발생시)을 하고 아치를 만들어 주는 운동을 합니다. 통증이 있을 경우 우선 등산이나 장거리 보행 등 지나친 체중 부하를 피해야 합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고 사춘기 이후에도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힘들 때, 심한 변형으로 인해 신발 모양이 이상해지는 경우, 신경 근육성 질환과 관련된 평발이거나 청소년기 이후 후 경골근건 기능 장애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발 안쪽의 건을 단축시키는 방법, 발뒤꿈치의 뼈를 늘리는 방법, 발목 뼈와 발뒤꿈치 뼈 사이에 삽입물을 넣거나 관절을 고정하는 방법 등으로 수술합니다.
대부분의 보존적 치료 후에는 통증이 사라지지만 수술의 경우 신경을 손상 받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수술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전화예약 02-403-7585 검진센터 02-403-7511 온라인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