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센터

관절센터

> 관절센터 > 고관절질환

대퇴비구 충돌증후군 (Femoroacetabbular Impingement)

대퇴비구 충돌증후군 (Femoroacetabbular Impingement)

고관절을 움직일 때 대퇴골두(넓적다리뼈)와 비구 사이의 충돌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


정리

 

고관절은 골반과 넓적다리 뼈를 이어주며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관절의 구조적 이상이나 노화로 인해 관절이 움직일 때 대퇴골두와 비구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고관절충돌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좌식생활에 익숙한 한국인에게 발생빈도가 높으며 중년여성에게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스포츠를 즐기는 20~30대 젊은 층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초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아 지나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보행이 힘들어지는 등 일상생활 자체가 어렵습니다. 조기발견이 어려운 만큼 증상이 생기면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증상

  • 양반다리 자세를 취할 때 통증이 심하거나 쥐가 난 것처럼 다리가 저리다

  • 쪼그려 앉거나 무릎이 배에 닿을 정도로 고관절을 굽히는 경우 통증이 발생

  • 운동중이나 일상생활에서 방향을 급격히 바꿀 때 통증이 심함

  • 계단을 오르내릴 때나 과도한 스트레칭 시 통증 발생

  • 심할 경우 절뚝거리며 걷게 되는 경우

  • 자동차나 자전거를 타고 내릴 때 뜨끔하다


원인

고대퇴골두와 비구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관절 자체의 기형이나 노화로 인한 퇴행성 발병도 원인이 됩니다. 넓적다리뼈와 그와 맞닿은 비구의 충돌을 일으키기 쉬운 좌식생활 문화와 쪼그려 일하는 자세로 인해 중년여성에게 발병 빈도가 높습니다. 최근에는 생활체육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20-30대 젊은 층에게도 많이 발병합니다.


치료 방법

초기에는 생활습관 및 자세 교정(입식)을 통해서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관절 질환의 특성상 시기를 놓쳐 증상이 악화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초기를 넘겨 자세 교정으로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고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인대 강화운동과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보존적 치료를 합니다. 대개 3~6개월 정도 꾸준히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했음에도 증상이 악화되거나 발견 당시 질환이 상당히 진행되어 일상생활에 무리가 있다면 수술을 시행합니다. 무릎이나 어깨보다 관절을 둘러싼 인대가 인대와 근육이 두꺼워 고난도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1. 관절내시경수술 : 고관절 주위에 지름 5~6mm 정도의 구멍을 2~3개 정도 뚫고 관절경을 집어넣어 모니터를 보며 찢어진 비구순을 꿰매거나 손상된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치료 효과

수술 경우에도 절개부위가 작아(1cm미만) 출혈이 적고 감염 위험도 낮습니다. 따라서 일상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한 만족도가 높습니다. 조기진단과 함께 임상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화예약 02-403-7585 검진센터 02-403-7511 온라인예약

대표블로그 유튜브